제주 동부 해안의 특이질병, '섬모충성 피부염'
제주 해안의 생태 변화와 함께 떠오른 새로운 감염병 제주도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아열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 중인 지역입니다. 특히 제주 동부 해안, 즉 성산, 표선, 세화, 종달리 인근 해역은 수온 상승, 해류 변화, 해양 생물 다양성 증가 등으로 인해 독특한 생태환경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최근 섬모충성 피부염이라는 생소한 감염 질환이 ‘지역 특이질병’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섬모충성 피부염은 ‘해양성 기생충 접촉성 피부염’으로 분류되며, 섬모충(Ciliophora)이라는 단세포 생물이 피부에 접촉할 때 발생합니다. 섬모충은 보통 바닷물에 떠다니는 미세 플랑크톤과 함께 서식하며, 주로 여름철 해수욕 시기에 사람의 피부와 접촉해 염증을 유발합니다. 육안으로는 거의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2025. 7. 13.
충남 갯벌지역의 특이질병, '퉁퉁마디 피부감염증'
충남 해안에서 늘고 있는 퉁퉁마디 피부감염증, 왜 주목해야 하나? 충청남도 서해안 일대는 광활한 갯벌과 염습지 생태계를 갖춘 지역으로, 해마다 수많은 어민과 관광객, 생태체험 학습자들이 방문합니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은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자 경제적 자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특이질병’의 온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퉁퉁마디 피부감염증’입니다. 퉁퉁마디는 염생식물로, 염전 근처나 간조대의 갯벌에서 자라며, 일반적으로는 무해한 식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퉁퉁마디 주변 갯벌에서 특정 미생물이나 해양 세균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환경에서 장시간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경우, 피부를 통해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주로..
2025. 7. 13.
강원도 산악지역의 특이질병, '발진티푸스'와 야생동물 매개 감염 경로
강원 산악지역과 발진티푸스의 생태적 위험성 강원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산림면적을 보유한 지역으로, 인제, 홍천, 평창, 태백, 정선 등지의 주민은 산림 자원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거나 접하는 기회가 많습니다. 이처럼 야생동물과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산악 지역에서는 특정 인수공통감염병이 비정기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표적인 특이질병 중 하나가 발진티푸스입니다. 발진티푸스는 '리켓치아(Rickettsia prowazekii)'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몸니(body louse)를 통해 전파되며, 야생동물(특히 설치류)이 보균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한국은 위생 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덕분에 과거에 비해 드물지만, 강원 산림지역에서는 여전히 발진티푸스균이 발견되고 있으며, 희귀하게..
2025. 7. 12.